靑松 건강칼럼 (699)... 연밥과 연근(蓮根) > 교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교계뉴스

건강칼럼 靑松 건강칼럼 (699)... 연밥과 연근(蓮根)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19-07-13 14:03

본문

연꽃이 피는 계절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청송 박명윤  박사 칼럼리스트01.jpg

연꽃(lotus)이 피는 계절이 오면 필자는 가족과 함께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西三陵) 인근에 위치한 오리요리 전문점 <너른마당>을 찾아 연못에 피어 있는 아름다운 연꽃을 감사하면서, 맛 있는 음식을 즐긴다. 지난 76일 토요일 오후에 <너른마당>에서 대표 메뉴인 통오리밀쌈(56,000)과 우리통밀칼국수(10,000) 그리고 녹두전과 접시만두를 곁들여 맛있게 먹었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UNESCO World Heritage)이며, 우리나라 사적(史蹟) 200호인 고양(高陽) 서삼릉(西三陵)은 희릉(禧陵), 효릉(孝陵), 예릉(睿陵)3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종(中宗: 조선 제11대 왕, 재위 1506-1544) 계비 장경왕후의 무덤인 희릉이 처음 들어선 이후 인종(仁宗: 조선 12대 왕, 재위 1544-1545)과 인종비 인성왕후의 무덤인 효릉, 그리고 철종(哲宗: 조선 25대 왕, 재위 1849-1863)과 철종비 철인왕후의 무덤인 예릉이 들어서면서 한양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삼릉이란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너른마당(www.nrmadang.co.kr) 후원에 있는 약 1,000평 규모의 연못인 보경지(寶慶池)에는 흰색 연꽃이 아름답게 피어있었다. 연꽃의 개화(開花)시기는 7-8월이며, 우리나라 연꽃축제7월 첫 주말에 시작하는 곳이 많다. 음력 6월을 하월(荷月)이라고 하는데 하()연꽃을 뜻하는 말이며, 꽃색깔은 홍색(紅蓮) 또는 백색(白蓮)이다.

 

연꽃은 속씨식물(쌍떡잎) 프로테아목(proteales) 연꽃과(nelumbo)의 여러해살이 수초이며,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북부가 원산지이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이므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준다. 연꽃의 꽃말은 청결, 순결, 결백, 청순한 마음, 당신은 아름답습니다 등이다.

 

연꽃은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으며,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며, 지름 40cm 정도로 물에 젖지 않고 잎맥이 방사상으로 피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꽃받침은 크고 평편하며, 지름 10cm 정도이다. 열매는 견과이며 종자는 꽃받침의 구멍에 들어 있다. 종자의 수명은 길며, 2천 년 묵은 종자가 발아(發芽)한 사례도 있다. 품종은 일반적으로 꽃의 크기에 따라 대륜(大輪), 중륜(中輪), 소륜(小輪)으로 나눈다.

 

우리나라에서 연꽃이 재배되기 시작한건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이 세조9(1463)에 사신으로 명나라를 다녀오면서 남경(南京)을 방문하여 그 곳에서 연꽃 씨앗을 갖고 들어왔다. 이후 자신의 집 부근에서 시험재배에 성공하였다.

 

이에 우리나라 최초의 연꽃 재배지가 된 곳이 현재의 시흥시 하중동의 관곡지이다. 현재 강희맹의 생가를 보존하고 연꽃 재배지에 연꽃테마파크를 조성하여 연꽃이 만개하는 7월에는 강희맹의 추모 다례를 진행하고 연꽃축제를 개최하는 등 시흥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꼽힌다.

 

불교에서 연()은 극락 세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장수ㆍ건강ㆍ행운ㆍ군자ㆍ명예불사 등을 상징한다. 또한 연밥으로 염주(念珠)를 만들어 사용하면 공덕이 크다하여 연밥 염주를 만들어 팔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을 불로식(不老食)으로 귀하게 여겨 잎ㆍ꽃ㆍ열매ㆍ뿌리 등 모든 부위를 식품이나 약제로 이용해 왔다. 연꽃의 씨앗을 연씨, 연밥, 연자 등으로 부르며, 껍질을 깐 연밥을 한약재로 사용할 때에는 연자육(蓮子肉)이라고 부른다.

 

연꽃 씨앗은 생명력이 대단하여 중국에서 발견된 1000년 묵은 씨앗이 발아(發芽)된적이 있고, 일본에서는 2000년 묵은 씨앗이 발아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된 연꽃 씨앗이 발아한 사례로서 아라홍련이라고 이름 붙은 종류가 유명하다. 20095월 경상남도 함안군 성산산성의 고대 출토현장에서 진공상태로 석화되다시피 한 점토 안에서 700년 전 연꽃 씨앗으로 측정(지질화학연구소)되는 연꽃 씨앗 10개가 발굴되었으며, 씨앗 1개가 발아에 성공했다. 함안군에서는 대규모 아라홍련 연꽃습지를 조성하였다.

 

중국 명나라 때 의약학자(醫藥學者) 이시진(李時珍: 1518-1593)이 저술한 의서(약학서) 본초강목(本草綱)에 의하면 연밥은 기력을 왕성하게 하고 질병을 물리치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한다. 즉 자양강화, 피로회복, 정신안정 등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연밥을 중국에서는 연자(蓮子)라고 부르는데 부부 사이에서 애가 줄줄이 태어난다는 연자(連子)와 발음이 같아 결혼 피로연에 연밥 요리가 나온다고 한다.

 

소설 홍루몽(紅樓夢)에서 앓아누워 있는 보옥(寶玉)이 먹고 싶다고 한 연자갱(蓮子羹)은 말린 연밥을 끓는 물에 불려 껍질을 벗기고 볶는다. 볶은 열매를 으깨어 꿀에 개고 참기름을 잘 섞어 만든다. 연근정과(蓮根正果)란 생연근을 어슷하게 썰어서 삶은 다음 소금물에 담가 두었다가 다시 꿀물에 담가 은근한 불에 호박 빛깔이 날 때까지 조려서 식힌 음식을 말한다.

 

연밥은 껍질에서 떫은 맛이 나기 때문에 껍질을 깐 연밥을 말려서 먹는다. 연자죽은 연밥을 갈아서 죽처럼 만들어 먹는다. 연꽃잎차는 양귀비(楊貴妃)가 애음(愛飮)한 다이어트차로 유명하다. 즉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몸속의 독소를 배출하여 다이어트 효과가 있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혈관 확장 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심장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연의 지하경(地下莖)을 연근(蓮根)이라고 일컫는데 자르면 구멍이 많다. 연근을 자르면 가는 실과 같은 것이 엉겨서 끈끈한 것은 뮤신(mucin)이란 물질이다. 뮤신은 당질과 결합된 복합단백질로 연근의 강장, 강정작용은 뮤신의 작용이 크다. 연근의 주성분은 당질이며, 대부분이 녹말이다.

 

연근(Lotus root)의 일반 성분(per 100g edible portion)은 다음과 같다. 연근 생것(raw): 에너지 67kcal, 수분 80.2g, 단백질 2.1g, 지질 0.1g, 회분 1.2g, 탄수화물 16.4g, 섬유소 0.8g, 칼슘 22mg, 67mg, 0.9mg, 나트륨 36mg, 칼륨 377mg, 비타민A 0, 비타민B1 0.11mg, 비타민B2 0.01mg, 나이아신 0.3mg, 비타민C 57mg.

 

연근에는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의 일종인 크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이 함유되어 흑갈색으로 변하기 쉽다. 변색을 막기 위해서는 식초에 담가 요리하면 본래의 색을 유지할 수 있다. 연근을 삶을 때 식초를 넣으면 나쁜 맛도 빠지고 빛깔도 선명해진다. 연근은 주로 정과(正果), 조림, 튀김, , 샐러드 등에 사용되며 아삭아삭한 입의 촉감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율곡 이이(李珥, 1536-1584)는 어머니인 신사임당(申師任堂)을 여의고 오랜 기간 실의에 빠져 있다가 건강을 상하게 되었다. 이때 그의 건강을 회복시켜준 음식이 연근죽이었을 정도로 연근은 먹거리뿐 아니라 귀중한 약재로도 사용되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독이 없고 맛이 달며 토혈(吐血, 피를 토하는 것)을 멎게 하고 어혈(瘀血, 정체되어 있는 혈액)을 푼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꽃은 진흙탕 속에서 흙탕물이 묻지 않는 아름다운 꽃이 핀다. 불교(佛敎)에서 연꽃은 부처님의 자비와 지혜를 나타내는 식물로 여겨지고 있다. 유교(儒敎)에서 연꽃이 사랑받는 이유는 더러운 연못에서 깨끗한 꽃을 피우는 모습이 절개를 중시하는 선비들의 기풍과 잘 맞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자비, 지혜, 절개 등을 깊이 생각하면서 아름다운 연꽃을 감상해야 하겠다.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아시아記者協會 The AsiaN 논설위원) <청송건강칼럼(699). 2019.7.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소진우 목사, 주님과 함께하는 가정예배 15-…
    감사하는 삶이 ‘희망의 백신’(58)
    이춘복 목사 저 쉬운 목회 4장 01 『내 …
    제3장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의 사도영성 신학 …
    Ⅳ.성막 영성의 의미와 적용-64-
    목양칼럼–70- 『죄의 세력에서 벗어나려면』 …
    계시록 강해(91) 계 17장6절 자주색과 …
    4월 둘째 주일「소강석 목사의 영혼 아포리즘」
    주일낮예배 0414 목포꿈의교회 메시지
    주일낮예배 주사랑교회 0414 메시지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