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박명윤칼럼(1013)... 아버지를 기리는 아들 > 교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교계뉴스

건강칼럼 靑松박명윤칼럼(1013)... 아버지를 기리는 아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크리스챤포토저널 댓글 0건 작성일 25-06-12 22:16

본문

기자 남시욱

 

청송 박명윤 박사.jpg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어제(68) 故 南時旭 박사의 부인 김은산 전 홍익대 교수가 연세대학교회 주일예배에 참석했다. 남시욱·김은산 부부는 연세대학교회 교인으로 65세이상 교인들로 구성된 남선교회(男宣敎會)’여선교회에서 활동했다. 남시욱 교우가 지난 41일 별세한 후 자택 인근 교회로 옮겼다. 어제 필자에게 아드님(남정호 한국언론인진흥재단 미디어본부장)이 관훈통신에 기고한 <아버지 기자 남시욱을 기리며>를 전했으며, ·녀선교회에 감사헌금도 기탁했다.

 

고인은 필자의 대구 경북고등학교 선배이며,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경북 의성 태생인 고인은 서울대 정치학과(54학번)를 졸업하고 1959년 동아일보 수습 1기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했다. 1987년 편집국장 때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특종 보도했으며, 당시 정부의 압력에도 끈질기게 사망 원인이 고문임을 밝혀냈다.

 

고인은 동아일보 상무이사와 논설실장, 편집국장 등을 역임했으며, 문화일보 사장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 등을 지냈다. 2017-2024년 화정평화재단 21세기평화연구소 이사장으로 재임했다. 인촌상을 비롯해 서울대 언론인 대상, 자랑스런 편협인상 등을 수상했으며, 고려대와 세종대 석좌교수로 후학을 양성했다. 저서로 한국 보수세력 연구한국 진보세력 연구등이 있다.

 

남시욱 박사1.jpg

     ▲ 고 언론인 남시욱 박사(서울대, 정치외교학)

 

관훈클럽의 관훈통신 2183쪽에 실린 남정호 칼럼니스트의 추모글 <아버지 기자 남시욱을 기리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으로, 그것도 같은 분야에서 성공한 아버지를 둔다는 건 여간 거북한 일 아니다. 자칫 호부견자(虎父犬子) 소리를 듣기 십상이다. 승진하거나 요직에 배치되면 실력 아닌 빽 덕 아니냐고 뒤에서 수군거린다. 그러기에 늘 몸가짐에 조심하고 억울하더라도 입을 꾹 다물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기자 남시욱을 아버지로 둔 건 내 삶에 있어서 무엇과도 비할 수 없는 행운이었다. 내가 기자가 된 것도 선친에 대한 존경심이 가장 큰 이유였다. 내 기억의 출발점부터 아버지는 기자였고, 돌아가실 때까지 언론인이었다. 내 유년의 기억 속에 아버지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일년 내내 일요일도 쉬지 않고 뛰어야 했던 게 그 세대 기자들의 삶이었다. 당연히 제대로 된 추억이 있을 턱이 없다. 아버지의 모습이 그나마 생각나는 건 중고등학생 때였다. 학원을 마치고 밤늦게 귀가하면 늘 이불에 엎드려 책을 읽고 계셨다.

 

서슬 퍼렇던 제5공화국 시절, 당시에는 자세한 내막은 몰랐지만 아버지는 군사정권과 맞서 싸우셨다. 동아일보 편집국장으로서 박종철 사건 보도를 진두지휘하신 것도 이 무렵이다. 어느 해 연말에는 술에 잔뜩 취한 군인에게 집을 수류탄으로 폭파하겠다는 협박 전화가 결려와 온 가족이 대피한 적도 있다. 당시 가끔 집에 오신 선친의 친구, 회사 동료들은 학생이었던 나에게 이런 예기를 했다. “지금 고초를 겪고 있지만 너희 아버지는 곧은 언론인이다라고. 유교전통이 강한 곳에서 자라선지 아버지는 선비의식이 강했다. 개인의 영달보다는 공동체에 기여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믿으셨다. 대학 졸업 후의 진로를 고민하면서 주변 친구들처럼 미국으로 유학 가 경영학석사(MBA)를 따면 어떻겠느냐고 슬쩍 물은 적이 있다. 그랬더니 당장 너 혼자 잘 먹고 잘살겠다는 얘기냐,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천둥같은 고함이 쏟아졌다. 선친이 그렇게 화낸 건 처음이었다.

 

결국 나는 선친을 따라 기자의 길로 들어섰다.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선친은 기자가 얼마나 고된 직업인지 알기에 학자가 되기를 원했다고 했다. 그럼에도 일단 기자가 되자 평생의 금과옥조로 삼을 가르침을 여럿 주셨다. 첫 번째는 기자는 겸손해야 한다였다. “성공한 취재원들과 어울리다 보면 자기도 대단한 인물로 착각하기 쉬운데 결코 그렇지 않다고 하셨다. 그러면서 유능하고 존경받는 기자, 언론인이 되려면 끊임없이 실력을 닦아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하셨다. 두 번째는 늘 책을 읽고 공부하라는 당부였다. “기자는 쉽게 접대 받는 직업이라 술이나 마시면서 건들건들하단 나중에 아무것도 안 된다고 경고하셨다. 여기에 기사는 짧게 써라” “비판은 상대방 얼굴을 보고 예기할 수 있을 수준으로 점잖게 해야 한다는 충고도 하셨다.

 

돌이켜볼 때 선친은 이런 원칙을 철저히 지키기 위해 애쓴 언론인이었다. 한미관계와 보수 및 진보세력의 기원에 대해 천착한 학자이기도 했다.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딴 게 78세 때였다. 남다른 집념과 노력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선친은 자손들에게 커다란 정신적 유산과 함께 무거운 짐도 남겨 주셨다. ‘기자 남시욱의 이 름을 욕되게 하지 않을 책임 말이다. 얼마나 이룰지 모르지만 나 역시 곧은 언론인으로서 삶을 마무리하고 싶다. 그리하여 훗날 한국 언론계에 헌신했던 남씨 부자가 있었다는 글귀가 역사서 한 귀퉁이에 새겨졌으면 하는 게 나의 소박하면서도 엄청난 바람이다.”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청송 박명윤 칼럼(1013) 2025.6.9. Facebook>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특집 한국의전협동조합 [기독교 장례문화 시연회…
    느낌과 감정을 초월한 신부(1)
    목사코너-610- 아버지가 내 이름으로 보내…
    이 병장! 제 기도도 처음이었습니다
    순금이며 투명한 유리 같은 도성의 거리
    靑松박명윤칼럼(1022) 쓰리고(高) 만성질환…
    특집 2부 한국의전협동조합 [기독교 장례문화 …
    靑松박명윤칼럼(1023)... 의료선교 그리고…
    [요약설교] 예수 그리스도의 성령체험
    탈북민이라는 용어 대신, 반도자(叛逃者)라니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