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 건강칼럼(808)...구강건조증과口腔癌 > 교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교계뉴스

건강칼럼 靑松 건강칼럼(808)...구강건조증과口腔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작성일 21-07-29 15:18

본문

구강관리(口腔管理)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청송 박명윤  박사 칼럼리스트01.jpg

구강의 해부구조(질환백과)

옛적에 할아버지가 사랑채에 계실 때는 저녁에 취침하시기 전에 며느리가 물 한 대접은 머리맡에 두고, 발치 쪽 방구석에는 요강(놋쇠, 양은, 사기 따위로 만든 작은 단지, 방에 두고 소변을 누는 그릇)을 두었다. 전통 한옥(韓屋)에서 뒷간(화장실)은 안채나 사랑채 어디서나 멀찌감치 떨어져 있었다. 이에 할아버지가 노화(老化)로 인한 전립선(前立腺)비대증으로 소변이 마려울 때는 요강을 사용하였고, ‘구강(口腔)건조증으로 입안이 마를 적에는 대접국그릇의 물을 마셨다.

 

요즘은 현대식 아파트(apartment)가 한국인의 주거 공간으로 자리 잡았지만 옛날 사람들은 전통 한옥에서 생활했다. 우리나라에서 한국인 손으로 건축한 첫 아파트는 625남침전쟁 전후(戰後) 복구가 한창이던 195811월 서울 성북구 종암동에 지은 종암아파트이다. 당시 이승만(李承晩, 1875-1965) 대통령은 낙성식(落成式) 축사에서 이렇게 편리한 수세식 화장실이 있는 종암아파트는 정말 현대적인 아파트라고 말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수세식 변기(water closet)는 영국의 작가 겸 발명가인 존 해링턴(John Harington, 1561-1612)경이 1596년에 두 개를 제작하여 하나는 자신의 저택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엘리자베스 여왕을 위해 왕궁에 설치했다. 당시 영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분뇨(糞尿)를 도시 근교의 농가에서 아주 귀중한 비료(肥料)자원으로 사용했으며, 분뇨를 수거하는 사람을 ‘night soil man’이라고 불렀다.

 

구강건조증(口腔乾燥症, 입 마름증, xerostomia)이란 침의 분비량이 줄거나 침의 점성(粘性, viscosity)이 높아져 입안이 건조하게 마르는 질환이다.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리터(), 분당 0.3-0.5의 침이 분비되는데, 정상 대비 50% 또는 분당 0.1이하로 분비되면 구강건조증으로 진단한다.

 

입안에 침이 없으면 음식물을 삼키기가 곤란하고 말을 하기가 어려운 불편감 뿐만 아니라 충치(蟲齒, 치아우식증) 및 풍치(風齒, 치주염)의 발생증가와 악화, 구강 곰팡이 감염, 혀 통증, 구취(口臭), 미각(味覺) 이상, 구강궤양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체에는 이하선(耳下腺, 귀밑샘), 악하선(顎下腺, 턱밑샘), 설하선(舌下腺, 혀밑샘) 등 세 쌍의 대타액선(大唾液腺)이 있다. ‘이하선은 타액선 중 가장 크고 삼각형의 모양으로 귀밑에 위치하며, 피부 바로 밑에 있으므로 표면에서 촉진되고, 생성한 타액을 도관(導管)을 통하여 양측 뺨의 개구부(開口部)로 분비한다.

 

악하선은 호두만한 크기로 턱뼈가 각을 이루는 부위의 전방부위에 안쪽으로 위치하고 생성한 타액을 도관를 통하여 혀 밑의 개구부로 분비한다. ‘설하선은 구강저(혀를 들면 보이는 입의 바닥 부위) 하방에 위치하고 생성한 타액을 여러 도관을 통하여 혀 밑의 넓은 부위에 분비한다. 이와 함께 혀를 포함한 구강점막 하방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소타액선(小唾液腺)이 있으며 이는 구강점막 표면으로 점도가 높은 타액을 분비한다.

 

구강건조증의 원인으로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당뇨병, 빈혈, 노화(老化), 영양소 결핍, 우울증 등으로 타액의 양이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약물 복용, 신경계 질환으로 구강건조증이 생길 수 있으며, 항암제 투여와 침샘 근처의 방사선 치료도 구강건조증을 일으킨다. ‘쇼그렌 증후군은 인체 밖으로 액체를 분비하는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침범하여 침과 눈물 분비를 감소시키고 구강(口腔)건조 및 안구(眼球)건조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이며, 발병률은 1,000명당 약 7명이다.

 

침이 일시적으로 분비가 줄어들었다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침 분비가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구강건조증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이를 감별하여 치료를 하여야 한다. ‘입마름을 완화하기 위하여 인공 타액 제품을 사용하거나,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강 안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불소(弗素, Fluorine)나 소독약이 포함된 구강청정제(가그린)를 사용하면 좋다.

 

식이요법으로 침의 분비를 자극하는 껌이나 신 음식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뜨겁고 건조한 곳에 오래 있는 것을 피해야 한다. 담배와 술은 구강건조증을 악화 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과 금주를 하는 것이 좋다. 침 분비가 줄어들면 충치(蟲齒)가 더 잘 생길 수 있으므로 평소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구강암(口腔癌, oral cavity cancer)이란 입안에 생긴 암 세포로 이루어진 종괴(腫塊, 덩이, mass)를 말한다. 구강은 입술, , 잇몸, 구강저, 협부점막, 경구개, 후구치삼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강암은 여기에 생기는 암을 말한다. 구강암의 90% 이상은 입 안의 점막을 구성하는 편평상피세포(扁平上皮細胞)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이다.

 

그 외에 구강점막의 작은 침샘에서 발생하는 타액선암(唾液腺癌), 턱뼈나 안면부의 근육 등의 연조직에서 발생하는 육종(肉腫), 구강점막의 입천장, 볼점막, 잇몸 등에서 발생하며 검은 반점을 형성하는 악성흑색종(惡性黑色腫), 그리고 드물게 림프 조직에 생기는 원발성 악성종양인 림프종(lymphoma) 등이 발생한다.

 

구강암은 인종 및 지역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2020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8년에 우리나라에서는 733(남자 470, 여자 263)의 구강암이 발생하여 전체 암 발생(243,837)0.3%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25.9%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3.3%, 50대가 22.0%의 순이었다.

 

구강암의 원인 인자로는 흡연, 음주, 씹는담배, 불량한 구강 위생, 치아나 의치(義齒)로 인한 기계적 자극,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oma virus), 매독(梅毒, syphilis), 편평태선(lichen planus), 점막하 섬유화증(submucous fibrosis) 등이 있다. 구강암 환자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DNA가 검출되는 빈도는 15%로 대조군의 5%에 비하여 3배 정도 높다. 흡연과 음주를 함께 하면 정상인에 비하여 15배 높은 구강암 발생율을 보인다.

 

지난 50년간 남녀간 구강암의 발병률의 성비(性比)10.4:1에서 1.8:1로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여성 흡연 및 음주 인구가 증가한 결과로 추정된다. 국제학술지 토바코 컨트롤(Tobacco Control)에 게재된 영국과 포르투갈(Portugal) 공동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전세계 구강암 신규환자는 약 44만명이며, 주요 원인은 흡연과 음주로 알려졌다. 또한 간접흡연에 10-15년 노출시 구강암 위험이 2배 높았다.

 

구강암 환자들의 주된 증상 중의 하나는 구강내의 병변으로 쑤시는 듯한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초기 암의 경우는 통증이 없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통증의 유무가 구강암의 증상과는 반드시 연관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 증상에는 입안이 헐었다, 입안에 하얀 또는 붉은 병변이 있다, 혀나 입안이 아프다, 입안에 혹이 만져진다, 이가 갑자기 흔들린다, 목에 혹이 만져진다 등이다.

 

, 볼 점막, 입천장, 입술 등에 발생하는 궤양(潰瘍)1-2주일 정도 지나면 심한 통증이 사라지고 궤양도 없어진다. 하지만 3주 정도 지나도 없어지지 않는 궤양은 단순한 염증으로 보기 어렵기에 조직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구강내 점막에 백색을 띠는 백반증(白斑症)은 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조직검사를 받아 정확하게 감별을 해야 한다. 또한 입안에 불그스름한 반점(斑點)이 지속적으로 있는 경우도 전암병소(前癌病巢)일 수 있으므로 조직검사가 필요하다.

 

병적인 변화가 입 안의 어느 부위에 생겼는지에 따라 구강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천장에 병적인 변화가 생긴 경우에는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고 양성 혹과 악성 혹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에 구별이 어렵다. 혀 밑바닥에 생긴 혹의 경우, 입 안의 표면점막은 정상이고 점막 밑으로 덩어리가 만져지는데, 단순한 낭종일 가능성도 있지만 혀 밑의 침샘에서 생기는 침샘암일 수도 있다. 그 외에 출혈, 입냄새(口臭), 체중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구강암은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국소 마취를 한 후 입 안에서 의심되는 부위를 조금 떼어내어 조직검사를 한 후 최종적으로 진단한다. 구강암으로 진단된 환자는 식도(食道)를 포함한 상부 호흡기관이나 소화기관에도 동시에 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내시경, 대장(大腸)내시경을 통해 이 부위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장기간 흡연한 사람은 다른 부위에도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등의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CT검사는 구강부위와 목의 임파선 전이 여부에 대한 정밀검사를 가능하게 하며, 특히 구강암에 의해 하악골(下顎骨)이 어느 정도 침범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MRI검사는 구강 내 연조직 특히 혀, 상악골, 근육 등으로 암이 침범한 경우 CT검사보다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전신을 촬영하는 PET검사는 다른 검사로 찾기 어려운 원격 전이나 재발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구강암 치료는 수술적 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을 시행한다. 수술은 구강 내의 암 부위를 절제하고 필요한 경우 목의 림프절을 제거하거나 구강 내 재건술을 시행하여 기능 및 외형을 회복시키는 형태로 시행된다. 방사선 치료는 조기 구강암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수술 후 재발의 위험이 높은 소견을 보이는 경우 보조적 목적으로, 혹은 수술이 어려운 경우 항암치료와 함께 근치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항암화학요법은 피막외 파급(extracapsular spread)이 있는 경부림프절 전이 환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구강암 5년 생존율은 평균적으로 약 56%로 낮은 생존율의 암종에 속한다. 효과적인 구강암 예방법은 흡연, 음주, 자외선(紫外線) 과다 노출 등의 위험 인자들을 피하기 위하여 금연, 절주, 자외선에 대한 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모자 착용이나 자외선 차단 크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잘 맞지 않는 틀니, 오래 사용하여 닳고 날카로워진 구강내 보철물 등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받은 구강점막 부위에서 발생한 상처가 구강암으로 전환되는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기적인 구강검진이 필요하다.

 

구강암 검진은 아직 체계화된 지침은 마련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연과 음주를 하는 40세 이상의 성인은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검진 방법은 의사가 눈으로 병변의 생김새를 보고 판별하는 시진(視診), 손으로 병소의 유무를 판단하는 촉진(觸診) 등이 간단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외에 탈락상피세포검사법, 톨루이딘 염색법 등이 있다. 물론 최종적인 진단은 조직검사로 확인한다.

 

구강암 예방을 위하여 영양(營養)도 중요하다. 비타민과 철분 결핍, 아연 구리 등의 식이인자(dietary factor)의 부족도 구강암 발병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일과 녹황색 채소,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E 섭취가 구강암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많은 연구논문들이 밝히고 있다. 반면에 동물성 지방과 포화지방의 과도한 섭취가 구강암과 연관된 위험인자라는 보고가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생활이 중요하다.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The AsiaNㆍ시사주간 논설위원,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청송건강칼럼(808) 2021.7.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12월 셋째 주일「소강석 목사의 영혼 아포리즘…
    한국교회총연합 2024년 성탄절 메세지
    레위기 강해(2-2) 레 1:3~6절 하나님…
    靑松 건강칼럼(978)... 치매(癡呆) 원인…
    리버티대학 동문회, 한국에서 연말 송년회 행사…
    곽에스더 목사 목양칼럼-38- 오늘은 참참참…
    군산성시화운동본부, 송년모임 갖고
    지타즈 / 언부협 2025년 신년하례 감사예배…
    초기 교회의 성경과 초기 교회 신앙으로 돌아갑…
    키 작은 행복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