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 건강칼럼 (693)... 치매로 가는 길목, 경도인지장애 > 교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교계뉴스

건강칼럼 靑松 건강칼럼 (693)... 치매로 가는 길목, 경도인지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19-05-31 22:15

본문

   경도인지장애(輕度認知障碍)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청송 박명윤  박사 칼럼리스트01.jpg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의 2016년 전국 치매 역학조사(疫學調査, epidemiological survey)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22.6%가 경도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노인은 1년에 1% 정도 치매가 발생하지만,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의 치매 발생 빈도는 8-10% 정도로 정상인보다 10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수 추이는 2016658225, 2017703968, 2018748946, 2019791229, 2020836833, 2021876096, 20251083977, 20301367651, 20402176558, 20503026593명 등으로 나타났다.

 

초로기(初老期)치매란 65세 미만 젊은 나이에 앓는 치매를 말하며, 우리나라의 젊은 치매 환자 수는 2017년 기준으로 18622명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4%. 초로기 치매 환자 상당수가 이른 나이에 직장을 잃기 쉽지만, 잘 훈련하고 주위에서 도와주면 몇 년은 더 일할 수 있다. 이에 치매 환자는 일방적으로 부양받는 존재가 아니라 어울려 살아가는 동료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자료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1262,919명에서 2017185,967명으로 증가했다.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인간의 노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저하되는 객관적인 인지 기능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다.

 

노인이 되면 일반적으로 기억력이 감퇴하고, 활동 영역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겉으로 봐서는 단순한 건망증(健忘症)과 경도인지장애(經度認知障碍)를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경도인지장애는 치매(癡呆)에 비하면 판단력과 지각, 추리 능력, 일상생활 능력 등이 대부분 정상이지만, 건망증에 비해서는 더 자주 무언가를 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만약 기억력 저하와 함께 아래 징후들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경도인지장애환자 체크리스트’(경희대 강동한방병원) 은행 송금액과 현관 비밀번호 등 숫자와 관련된 일에 전에 없던 실수를 한다. 바둑ㆍ장기ㆍ화투 등 일상적으로 하던 취미활동을 전처럼 잘하지 못한다. 최근에 일어난 일에 대해 빨리 생각이 나지 않는다. TV 드라마나 책에서 보고 읽은 내용이 이해가 잘 안돼 엉뚱한 질문을 한다. 집안일, 업무 등에 집중하는 시간이 줄고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 가족 생일과 약 복용 등 지속적으로 해온 일을 깜빡 잊는다. 운전 중 실수가 잦아지고 지하철 환승 등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함을 느낀다.

 

경도인지장애란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저하가 객관적인 검사에서 확인될 정도로 감퇴된 상태이지만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상태는 치매를 가장 이른 시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이며,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 조기에 치료하여 치매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경도인지장애는 장애를 보이는 인지 영역에 따라 기억상실형경도인지장애와 ()기억상실형경도인지장애로 분류한다. 기억력 감소가 두드러지고 그 외의 인지 기능의 감소는 크지 않은 기억상실형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으로 이행된다. 반면, 기억에는 별문제가 없지만 집중력과 사고력, 언어 등의 인지 기능이 떨어진 비기억상실형경도인지장애는 혈관성치매나 전두측두치매(Frontotemporal dementia)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경도인지장애 진단(診斷) 기준은 기억력 저하에 대한 불편을 호소(주로 보호자 입장에서 제시) 기억 손상 외에 다른 영역은 비교적 정상임(주로 기억 저하이나 전두엽 기능, 시공간 기능 등 뇌 기능의 일부에서 이상을 보임) 일상생활은 문제가 없고, 혼자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수준 전문가 의견 및 진단 기준에 의하면 치매의 진단 기준을 만족하지는 않아야 한다.

 

진단의 첫 번째 단계는 환자가 경도인지장애 증후군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환자 자신이나 가족이 인지기능장애를 호소하고, 신경심리학적 평가를 통해 인지기능장애가 증명되어야 한다. 그리고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는 뚜렷한 장애가 없으며, 치매의 진단기준을 만족하지 않아야 한다.

 

신경심리검사가 경도인지장애를 증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상노화, 경도인지장애, 치매 간에 공통된 부분이 많으므로 이들을 구분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최근에는 뇌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이용한 영상검사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 번의 영상검사만으로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1-2년에 걸친 추적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이 대부분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증상을 보이고, 임상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전구(前驅)단계라고 간주된다. 치료(治療)는 콜린에스터레이즈억제제, 항산화제, NMDA 수용체 길항제 등을 이용한 약물요법을 시도하고 있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치매 진행을 늦출 수 있는 한약으로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ㆍ억간산(抑肝散) 등이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원지ㆍ인삼ㆍ황기ㆍ당귀 등으로 이뤄진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을 건망증 치료약으로 처방한다. 경도인지장애 증상으로 기억력 저하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조기에 가미귀비탕과 같은 한약으로 치매로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한방의 침과 뜸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해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치료방법도 있다.

 

예방(豫防)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혈관성 위험인자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로 건강을 유지하여야 한다. ‘지중해 식단은 올리브유(olive oil)를 기본으로 통곡물, 견과류, 채소, 과일, 생선 등이 주재료다. 평소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김현덕 교수팀이 평균 나이 71세의 노인 280명을 대상으로 치아 재건 여부와 인지기능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노년기에 빠진 치아를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인지기능장애가 생길 위험성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인지장애 그룹과 건강한 대조그룹으로 각각 140명씩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빠진 치아를 재건하지 않은 개수가 5개 이상인 노인은 4개 미만인 노인보다 인지장애 위험이 평균 2.7배 더 높았다. 치아가 빠지는 것은 인지기능 장애 위험요인은 아니었지만, 빠진 치아를 재건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는 인지기능 장애 위험요인이었다.

 

여러 연구에서 음식을 씹는 기능이 좋지 않은 것이 인지능력 저하와 치매 발생 증가요인 가운데 하나로 분석됐다. 씹기는 뇌기능에 도움이 되는 뇌혈류와 관련이 있는데, 고정성 보철이나 의치(義齒) 치료가 씹기를 활성화해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구강 건강관리를 평소에 잘 하여야 한다.

 

최근 미국 국립암센터에서 65만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약간 빠른 걸음으로 매일 10분 정도 걸으면 1.8, 매일 30분 정도 걸으면 3.4, 매일 1시간 걸으면 4.5년 이상 수명이 연장한다고 한다. 또한 80세 이상 고령자들의 팔다리 근력(筋力)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근력이 좋은 상위 10% 그룹이 하위 10% 그룹보다 치매 질병 위험이 60% 정도 감소한다고 보고되었다.

 

치매와 노화 예방에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평소에 하던 일을 양은 줄이더라도 즐겁게 계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러시아 화가 샤갈(Marc Chagall, 1887-1985)98, 스페인 첼로 연주가 카살스(Pablo Casals, 1876-1973)97, 아일랜드 극작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856-1950)94세에 사망할 때까지 끊임없는 예술혼(藝術魂)으로 뇌 운동을 열심히 하며 창의력, 정신력을 잘 발휘하여 불후의 작품들을 남겼다. 뇌를 늙지 않게 하는 방법 중 하나가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치매 예방 지침을 발표했다. 12가지 권장 지침은 신체활동 금연(禁煙) 영양 관리 알코올 남용 금지 인지 훈련 사회 활동 체중 관리 고혈압 관리 당뇨 관리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관리 우울증 관리 청력(聽力) 관리 등이다.

 

아직 완치약이 없기 때문에 인류는 치매를 정복하지 못하고 있다. 100세 시대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치매에 대처하려면 질병의 원인과 치료방법 등을 알아내는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한국교회총연합 2024년 성탄절 메세지
    레위기 강해(2-2) 레 1:3~6절 하나님…
    靑松 건강칼럼(978)... 치매(癡呆) 원인…
    곽에스더 목사 목양칼럼-38- 오늘은 참참참…
    리버티대학 동문회, 한국에서 연말 송년회 행사…
    군산성시화운동본부, 송년모임 갖고
    지타즈 / 언부협 2025년 신년하례 감사예배…
    초기 교회의 성경과 초기 교회 신앙으로 돌아갑…
    키 작은 행복
    <2024년 성탄절을 맞으며> 불의하고 불법한…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