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건강칼럼 (864)... ‘만인의 연인’ Olivia > 교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교계뉴스

건강칼럼 靑松건강칼럼 (864)... ‘만인의 연인’ Olivia

페이지 정보

작성자 크리스챤포토저널 댓글 0건 작성일 22-08-21 18:15

본문

유방암(乳房癌) 그리고 척추암(脊椎癌)

 

청송 박명윤  박사 칼럼리스트02.jpg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CNN Breaking News: Singer and Actress Olivia Newton-John dead at age 73. CNN 방송은 뉴스 속보로 가수 겸 여배우 올리비아 뉴턴 존이 향년 7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고 보도했다. 88일 남편 존 이스터링은 올리비아가 오늘 아침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자택에서 암 투병 중 세상을 떠났다. 가족과 친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평화롭게 눈을 감았다SNS를 통해 밝혔다.

 

뉴턴 존은 1970-80년대 만인의 연인으로 통한 슈퍼스타였다. 한국과도 인연이 있으며, 2000년과 2016년 두 번 내한했다. 2016514일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단독 콘서트에서 뉴턴 존은 마치 영화 그리스(Grease)’샌디가 돌아온 듯 공연했다. 뉴턴 존은 국내 언론과 인터뷰에서 후배들에게 스스로 네 자신이 돼라(Be Yourself)”고 조언했다.

 

호주 빅토리아주() 정부는 올리비아 뉴턴 존의 영결식을 주 정부 차원으로 치러질 것이라고 밝혔다. 형식도 단순 영결식이 아닌 콘서트처럼 진행될 전망이다. 콘서트 형식으로 열릴 경우 그와 동시대에 활동했던 가수들도 상당수 참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구체적인 장소와 시간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영국 출신 뉴턴 존이 가족과 어린 시절 호주 멜버른으로 이주해와 아동·청소년 시절을 보냈다. 호주인들은 우리나라가 배출한 월드 스타로 각별하게 아꼈다.

 

뉴턴 존은 1992년 아버지를 암으로 여의고 장례를 치르던 시점에 자신도 유방암(乳房癌) 진단을 받았다. 오랜 투병 끝에 건강을 회복하고 1998년 활동을 재개했으나 2013년 교통사고를 계기로 암이 어깨로 전이된 사실을 알게 됐고, 2017년에는 다시 척추암(脊椎癌) 진단을 받는 등 긴 투병 생활이 이어졌다.

 

299510574_3280750745517660_3104131133353695644_n.jpg

 

그는 암과 투병하면서도 암 연구 후원과 환경보호 운동 등을 활발히 펼치며 사회운동가도 변신했다. 뉴턴 존은 자선단체 올리비아 뉴턴 존 파운데이션을 결성하여 수백만 달러의 연구기금을 조성해 어린 시절 성장한 호주 멜버른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암 센터(Olivia Newton-John Cancer Research Institute)2008년 설립됐다.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2020년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은 데임(Dame·남성 기사 작위와 동급) 작위를 수여했다.

 

뉴턴 존은 암 연구 기금 마련을 위한 자선이벤트 올리비아 뉴턴 존과 함께하는 걷기행사를 매년 주최해왔다. 뉴턴 존은 암 환자들에게 이겨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세와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췌장암 4기 판정을 받은 퀴즈쇼 제퍼디(Jeopardy) 진행자 알렉스 트레백에게 유머 감각이 매우 중요하다며 뛰어난 유머 감각을 소지하고 있어 반드시 암을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턴 존 별세에 즈음하여 유족들은 꽃을 보내고 싶으면 암 연구 기금을 기부해달라고 부탁했다. 1978년 영화 그리스(Grease)에 이어 1983환상의 듀엣까지 공동 출연하며 뉴턴 존과 당대 최강 스타 커플을 이뤘던 존 트라볼타(John Travolta)당신은 우리 모두의 삶을 훨씬 행복하게 만들어줬다. 언젠가 다시 만나 함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며 고인을 추모(追慕)했다.

 

뉴턴 존은 1948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여섯 살 때 가족과 호주로 이주했다. 호주 오디션 프로 입상을 계기로 17세 때인 1965년 영국에서 가수 활동을 시작한 그는 1971년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밥 딜런(Bob Dylan)의 원곡을 리메이크한 이프 낫 포 유(If Not For You)’를 히트시키며 팝계의 샛별로 떠올랐다.

 

뉴턴 존은 청순한 외모와 고운 음색에 힘 있는 가창력(歌唱力)까지 갖추어 포크, 발라드, 댄스곡을 오가며 히트곡을 쏟아냈다. 그래미상에서도 1974년 외국인으로는 드물게 컨트리 부문 가창상을 받는 등 4번 트로피를 수상했다. 대중성이 강한 그의 노래는 우리나라 라디오 방송과 음악다방 등에서 단골 신청곡이 됐다.

 

300373413_3280750782184323_7528280913447330119_n.jpg

 

뉴턴 존은 1978년 존 트라볼타와 함께 출연한 영화 그리스의 대성공으로 세계적 아이돌로 우뚝 섰다. ‘그리스는 지금도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연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마이클 잭슨을 앞세운 댄스 음악 열품에 주춤했던 뉴턴 존은 1981피지컬(Physical)’의 메가톤급 히트로 팝의 여왕으로 재기했다. 빌보드 차트 10주 연속 1위를 기록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 노래가 에어로빅 교실에서 교과서처럼 흘러 나왔다.

 

뉴턴 존은 사회운동가로 활동하면서도 음악을 놓지 않았다. 쉰두 살이던 2000년에는 호주 시드니 올림픽 개막식 스타디움(stadium) 무대에 올라 축하곡을 불렀다. 지난해에는 폴 앵카의 왕년 히트곡 그대 머리를 내 어께에 기대요(Put Your Head on My Shoulder)’를 듀엣으로 리메이크했다.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 엄마 젖을 먹고 무럭무럭 자란다. 엄마가 아기에게 젖을 물리는 장면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매년 81-7일은 유니세프(UNICEF)와 세계모유수유연맹(WABA)1992년에 제정한 세계 모유수유 주간(World Breastfeeding Week)’이다. 우리나라 모유 수유율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 중 꼴지 수준이다. 모유수유를 한 경우, 폐경 전 유방암의 발생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299700111_3280750822184319_4637138647856762086_n.jpg

유방암 종류

 

유방암(乳房癌, breast cancer)이란 유방에 발생한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腫塊, 종양)를 의미한다. 유방조직은 유선과 유선조직을 지지하는 지방, 결체조직, 림프관 등으로 이루어진다. 유방암은 유방내에 발생한 종양이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종양(malignant tumor)으로 보통 유관(젖줄)과 유소엽(젖샘)의 상피 세포에 생긴다.

 

척추암(脊椎癌, spinal cancer)은 척추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유방암은 척추로의 전이가 드물지 않게 일어난다. 척추에 악성종양이 생긴 환자는 크게 다른 신체기관에서 발생해 척추로 전이된 전이성 암과 척추에서 처음 시작된 원발성 암으로 나뉜다. 원발성 암은 매우 드물어서, 척추암 환자 90% 이상은 전이성 암이다. 척추는 목뼈부터 꼬리뼈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몸 가운데 깊숙이 위치해 있다.

 

장영희(1952년 서울 출생) 서강대 교수(영어영문학과)는 생후 1년 만에 소아마비를 앓아 두 다리를 쓰지 못하는 장애인이 되었다. 그러나 역경을 딛고 서울대(학사)와 서강대(석사)를 거쳐 1985년 뉴욕주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부터 서강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번역가와 수필가로도 활동하였다. 2001년 유방암, 2004년 척추암을 이겨낸 뒤 다시 강단에 섰다가 2008년 간암으로 전이되어 투병하였으나 2009년에 별세했다.

 

유방의 중추적인 부분은 젖을 분비하는 젖샘인 유선(乳腺, mammary gland)과 젖을 유두(乳頭, 젖꼭지)로 운반하는 유관(乳管, mammary duct)이다. 유방에는 여러 종류의 세포가 있으며, 어느 것이든 암세포로 변할 수 있으므로 발생 가능한 유방암의 종류는 많다. 유방암은 암이 기원한 세포의 종류 및 침윤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한다. 암의 발생 부위에 따라 유관과 소엽 등의 실질(實質)조직에서 생기는 암과 그 밖의 간질(間質)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나눈다.

 

국내 여성 암 발생 1위는 유방암이다. 발생자수는 20006,237명이던 유방암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24,933(남자 113, 여자 24,820)으로 전체 암 발생의 9.8%5위를 차지했다.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31.0%, 50대가 30.0%, 60대가 18.8%의 순이었다. 병원을 찾는 누적 환자는 약 26만명에 이르며, 유방암 발생 위험 그룹은 최소 100만명으로 추산된다.

 

299353481_3280750862184315_1782702477409588603_n.jpg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20192,634명으로, 전체 암 사망자 81,203명 가운데 3.3%를 차지했다. 2019년 암으로 사망한 사람 수는 전체 사망자수의 27.5%에 해당하며,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인 암은 폐암으로 전체 암 사망자의 22.9%이고 다음으로 간암, 대장암, 위암, 췌장암, 담낭 및 기타 담도암, 그리고 유방암이 7위를 기록했다. 1990년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여성인구 10만 명당 2.8명이었으나, 2019년에는 10.2명으로 증가했다.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나이는 50대 초반으로 폐경(閉經) 전후에 많이 발병한다. 유방암은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estrogen)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수록 발생 위험이 커진다. 초경(初經)이 이를수록, 폐경이 늦을수록, 임신이나 모유 수유 경험이 적을수록 유방암 발병이 높아진다.

 

유방암의 원인을 확실하게 규명하기는 어렵다. 다만 고지방·고칼로리의 서구화된 식생활과 그로 인한 비만(BMI 25 이상), 늦은 결혼과 출산율 저하, 모유 수유 기피, 빠른 초경(14세 이전)과 늦은 폐경(50세 이후) 등으로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총 기간 증가 등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유방암의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다. 유방암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유방에 덩어리가 만져진다. 심한 경우에는 유두(乳頭, 젖꼭지)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다. 또한 유두에 잘 낫지 않는 습진이 생기는 경우에도 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다. 유방암이 아주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유방 피부가 움푹 패고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며, 통증이 있거나, 열감을 수반한다.

 

진단은 유방 병소는 자가 검진, 임상 진찰, 방사선 검사(유방 촬영술, 유방 초음파 등), 생검(生檢) 등으로 진단한다. 국립암센터의 유방암 검진 권고안은 40-69세의 여성은 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을 하며, 증상이 있거나 고위험군 여성은 임상의사의 판단에 따라 임상유방진찰, 유방초음파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유방촬영술(mammography)은 유방암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로, 촉진과 초음파검사 등에서는 발견이 어려운 미세석회화(microcalcification)와 같은 유방촬영술에서만 관찰 가능한 조기암 병변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방촬영술에서는 유방을 판에 대고 상당히 압박을 가해야 병변 부분이 정상 조직과 구별되게 나온다. 이때 제대로 누르기 않으면 환자에게 전해지는 X선 양이 많아지고 유방촬영 사진이 뿌옇게 흐려져서 병변을 찾아낼 수 없다.

 

유방암 치료방법은 암이 진행된 정도와 발생 부위, 크기 등에 따라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항호르몬요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치료한다. 종양의 상태에 따라 암 조직을 떼어 내는 수술적인 방법과 수술 부위의 국소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 요법, 항호르몬 요법을 시행한다. 유방 전체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유방 복원 수술도 함께 시행할 수 있다.

 

유방암 환자들은 치료 과정에서 여성성(女性性, femininity)을 잃어서 상당수가 우울증을 앓고, 생존 스트레스에도 시달린다. 선진국에서는 암 치료 시 정신건강 진료를 병행하는 것이 필수라고 여겨서 암 정신과 전문의를 별도로 두고 있다. 암 진단뿐만 아니라 암 케어(care)에도 정신건강의학과가 참여하는 진료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요즘 대학병원들은 암센터 내에 암 스트레스 클리닉을 개설하고 있다.

 

서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팀과 서울의대 암연구소 연구팀은 유방암 발생 위험 관여 요인 19가지를 제시하고,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도시 기반 유방암 환자 구축 코호트(cohort, 집단 종속 연구)를 통해 취합된 한국인 유방암 환자 9만여명 데이터를 분석했다. 아래 <유방암 발생 위험 체크리스트>에서 아니오가 많을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위험 요인별로 가중치를 반영하여 개인별 맞춤 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하루에 채소를 2회 이상 섭취합니까? 하루에 콩 제품(, 된장, 두부 등)1회 이상 먹습니까? 평소에 고기를 즐겨 먹지 않은 편이다. 하루에 잡곡밥을 2회 이상 섭취합니까? 우유를 매일 마십니까? 술을 즐겨 마시지 않는 편이다(‘아니오는 술을 자주 마신다는 뜻) 현재 체중이 63kg 이하입니까? 20세 때 체중이 58kg 이하였습니까? 키가 160cm보다 작은 가요? 당뇨로 진단받은 적이 없지요?(‘아니오는 당뇨병 환자라는 뜻)

 

하루에 과일을 1회 이상 먹습니까? 가족(엄마, 이모, 외할머니, 언니, 여동생 등) 중에 유방암 환자가 없다.(‘아니오는 가족 중 환자가 있다는 뜻)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십니까? 모유 수유를 한 적이 있다. 고위험 유방 앙성 종양으로 진단받은 적이 없다.(‘아니오는 진단받았다는 뜻) 폐경 이후 여성호르몬 약을 먹거나 주사를 맞은 적이 없다.(‘아니오는 복용했다는 뜻) 폐경이 됐습니까? 초경은 16세 넘어 했습니까? 이완기 혈압이 85mmHg보다 낮지요?(‘아니오는 고혈압 진단을 받았다는 뜻).

 

한국유방암학회(Korean Breast Cancer Society)2007년에 발표한 <행복한 유방암 환자 부부를 위한 지침서>에서 남편을 위한 지침은 묵묵히 들어줘라 아내를 안아주고 웃게 하라 유방암 자가진단법을 익혀서 거들라 병원에 같이 가라 가사 노동이나 자녀 교육의 부담을 덜어주라 부부관계를 기피하는 아내를 이해하되, 사랑의 표현을 아끼지 말라 등이다.

 

한편 아내를 위한 지침은 남편의 행동과 말투를 속단하여 상처받지 말라 자신의 상황을 이해해줄 친구들을 만들라 삶의 희망을 얻고 있음을 남편에게 표현하라 매일 아침마다 잘 해내고 있다고 자신을 격려하라 생활 방식(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켜라 주치의와 상담하고 그의 권고를 100% 따르라 생활 관리와 증상 관리 등이다.

 

유방암은 다른 암들과 마찬가지로 항상 재발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암을 완벽하게 예방할 방법이 없듯이, 재발을 철저히 막을 방도도 없다. 따라서 암 치료 후에도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국소 재발이나 전이 재발을 일찍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기에 발견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므로 완치될 가능성도 크다. 유방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매년 높아져 2019년에는 93.0%에 이르렀다.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The AsiaNㆍ시사주간 논설위원,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청송건강칼럼(864) 2022.8.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쉬운목회 8장1. 하나님 짝사랑
    아가 강해(20) 아 2:17~3:2 주님의…
    스카랴 강해⑤ 슥 1:5~7절 스카랴에게 임…
    10월 마지막 주일「소강석 목사의 영혼 아포리…
    2. 재림에 대한 확신은 영적 삶의 동력이다.
    환자론
    장한국 목사코너-579- 장막절을 지키라
    4. 영의 눈으로 보고 영의 귀로 들으라.
    신실과 진실이라 불리는 흰 말 탄 자
    욕쟁이 할매국밥 5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