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상 원장 칼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종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문화 이효상 원장 칼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0-08-12 11:43

본문

이효상 원장 칼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애국부인들이 자수를 혼아 만든 무궁화지도.jpg

 

 제주도의 이기풍 선교기념관을 방문하였다. 기념관에 들어가다 길가에 놓인 꽃을 주목하게 됐다. 다름 아닌 활짝 핀 무궁화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무궁화를 볼 때마다 삼천리 방방곡곡마다 무궁화가 만발하길 기대하며, 한서 남궁억 선생을 기억하게 되었다.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무궁화심기운동을 벌여 무궁화 묘목을 전국의 예배당과 학교로 보냈고 무궁화 예찬시를 지어 퍼뜨렸던 그 무궁화가 여기까지 전해진 것일까.

 

한서 남궁억(南宮檍1863-1939) 선생은 정말 대단하다. 1884년 영어학교를 졸업하고 고종의 영어통역관, 경상도 칠곡부사, 내무부 토목국장 등을 역임하였다.1896년엔 서재필, 이상재 등과 함께 국민운동을 전개하여 독립신문영문판 편집장, 독립협회 수석총무 등을 맡았다. 또한 1898황성신문창간에 관여하여 초대 사장 겸 주필로 활약했다. 1910년 한일합병 이후 배화학당 교사, 상동청년 야학원 원장을 지냈고, 1918년 고향인 홍천 모곡리로 낙향한 뒤 예배당을 짓고 모곡학교를 세워 애국교육에 힘썼다. 동시에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무궁화심기운동을 벌였다. 당시 애국부인들은 삼천리를 무궁화로 수를 놓아 이를 뒷받침하기도 했다.

 

선생에게 있어 무궁화는 나라사랑이었고 애국이었다. 선생은 무궁화 묘목을 전국적으로 보급해오다가 형무소에 투옥되었고, 동아일보 신문사의 제호에 들어가던 무궁화 도안도 삭제되었다. 무궁화가 태극기나 애국가와 함께 한민족에게 조국을 상징하고 결속력을 키우는 강력한 존재임을 간파한 일제는 무궁화를 우리 민족과 멀리 떼어놓기 위해 무궁화를 볼품없는 지저분한 꽃이라고 경멸하여 격하시키고 일본 꽃인 벚꽃을 심게 했다. 그래도 한서(翰西) 남궁억 선생은 굽히지 아니하고 무궁화선양운동을 펼치고 무궁화나무 심기를 계속 했다. 1933년 독립운동 단체인 기독교 비밀결사 십자가당 사건으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르다 병보석으로 석방되었지만, 병고에 시달리다 끝내 별세했다. 정부는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남궁억 선생은 나라사랑은 남 달랐다. 일제 치하에서도 한글과 우리 역사를 알리고자 신편언문체법조선어보충’ ‘동사략’(東史略)조선이야기’(5) 등을 저술하였고 또한 백여 편의 시와 노랫말을 지어 독립정신을 고취했고, 특히 나라 사랑의 정신과 열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이라는 곡은 현행 찬송가에 수록되어 지금도 널리 불리고 있다.

 

무궁화 그림.jpg

 

나라마다 나라를 상징하는 세 가지, 즉 국기와 국가, 국화가 있다. 일본은 벚꽃’, 영국은 장미’, 우리나라는 무궁화다. ‘무궁화는 이름처럼 무궁하다. 어릴 때 불렀던 노래 중에 "무궁 무궁 무궁화, 무궁화는 우리나라 꽃, 피고 지고 또 피어 무궁화라네 !~ 너도 나도 모두 무궁화가 되어. 지키자 이 땅, 빛내자 조국, 아름다운 이 강산 무궁화겨레 우리 손잡고서 무궁화~ 무궁화 ~ ” 가사 말처럼 우리들은 무궁화 민족이다.

 

그럼 왜 무궁화가 우리 민족에게 선택된 것일까? 끈기와 지구력과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꽃 무궁화는 우리나라 토양에 맞는 꽃으로서 원산지가 우리나라이며, 우리나라 전국에 긴 역사를 가지고 자생해 온 꽃이기 때문이다.

 

무궁화의 역사는 길다. 실제로 무궁화가 우리 민족의 마음속에 나라를 대표하고 상징하는 꽃이 된 것은 이미 수 천년이 된 일이다. 우리나라의 무궁화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동진(東振))의 지리서 산해경(山海經)에 군자의 나라에 무궁화가 많은데 아침에 피고에 군자의 나라에 저녁에 자더라‘((君子之國有薰華草朝生暮死)’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박민웅의 창암집(滄巖集)’에 따르면 기자(箕子)가 동쪽으로 오면서 무궁화(槿花) 종자를 가지고 와 이 땅에 심었다고 했다. 무궁화가 전래된 초기의 기록. 신라의 문장가 최치원이 당나라에 보낸 국서에는 계림을 근화향(槿花鄕;무궁화의 나라, 신라를 뜻함)이라 했다.

 

또 중국의 고전인고금기(古今記)에는 군자의 나라에는 지방이 천리인데 무궁화가 많이 피었더라( 君子之國地方千里多木槿花)’라는 기록이 있고,예문유취(藝文類聚)()89에는' 군자의 나라에는 무궁화가 많은데 백성들이 그것을 먹는다.(君子之國多木菫之華人民食)'라고 전해져 왔다.

 

이렇게 보면 최소한 조선시대에는 가는 곳마다 무궁화가 만발했던 것을 같다. 우리 겨레와 역사를 같이해 온 애틋한 꽃. 하지만 무궁화를 일제강점기에 일제는 모조리 뽑아냈다. 무궁화가 한민족의 상징이라는 것을 안 일제에 의해 민족혼을 말살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선의 무궁화를 전 국적으로 뽑아 없애버림으로써 큰 수난을 겪었다. 꽃나무가 민족의 상징이자 이름으로 이처럼 가혹한 시련을 겪은 사례는 일찍이 없었고 이를 사람한 사람이 있었으니, 무궁화를 볼 때마다 삼천리 방방곡곡에 무궁화가 만발하길 기대하며, 남궁억 선생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이렇게 나라꽃 무궁화야말로 겨레의 얼굴이며 혼으로 그렇게 수난을 견딘 꽃이 무궁화다. 오랜 역사를 두고 우리 만족의 구심점의 위치에서 우리 민족과 함께 끊임없이 피어왔다. 애국가 가사에 '무궁화 삼천리'라는 구절이 아무런 저항없이 표현되고 불려지는 것도 무궁화가 오랜 세월을 통해 우리나라, 우리 민족속에 자리한 때문이다.

칼럼니스트 이효상 원장.png

8.15 해방 75주년이 된다. 정부가 나서 무궁화가 나라꽃으로 규정한 것은 1949년이지만, 진해에서 일본 꽃인 벚꽃대축제는 하면서 우리나라 국화인 무관심하고, ‘무궁화잔치는 시도하지 않는 것을 볼 때면 일제 때 빼앗긴 민족혼을 오늘날까지 제대로 찾지 못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무궁화가 서양에서는 샤론의 꽃이라 불리며 꽃 중의 꽃으로 불린다. 봄에 잎이 나오면 이어 꽃이 피기 시작하여 가을에 잎이 지고 가을에 쉬는 끈기와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무더위와 장마철에 무궁화 꽃이 활짝 피었다. 해마다 피는 꽃이지만 질긴 생명력 때문인지 올 여름 무궁화는 어쩐지 더 귀해 보인다. 어제도 오늘도 그렇게 꽃을 피우고 있다. 무궁화는 이름처럼 무궁히 뻗어 나갈 우리나라처럼, 우리 곁에서 항상 그렇게 묵묵히 꽃을 피울 것 같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12월 셋째 주일「소강석 목사의 영혼 아포리즘…
    한국교회총연합 2024년 성탄절 메세지
    레위기 강해(2-2) 레 1:3~6절 하나님…
    靑松 건강칼럼(978)... 치매(癡呆) 원인…
    리버티대학 동문회, 한국에서 연말 송년회 행사…
    곽에스더 목사 목양칼럼-38- 오늘은 참참참…
    지타즈 / 언부협 2025년 신년하례 감사예배…
    군산성시화운동본부, 송년모임 갖고
    키 작은 행복
    초기 교회의 성경과 초기 교회 신앙으로 돌아갑…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