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백의 절규 > 설교와칼럼

본문 바로가기

설교와칼럼

목회자칼럼 이태백의 절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0-06-11 23:45

본문

이태백의 절규

 

이태백의 절규.jpg

소득주도성장이라는 말잔치로 지난 3년은 우리나라를 고비용에 멍든 국가로 변하게 했다. 그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일자리 대란이다. 그것은 코로나19 사태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 최저임금을 턱없이 올린 2018년 이후 전면화한 경제 재앙의 한 단면이다.

 

코로나19 이후 가장 큰 두려움은 전 세계가 '실업'이라는 전염병에 감염될 것 같다. ‘실업이라는 전염병이 사라지지 않고 일상적인 감기처럼 우리 주위에서 잠복하며 쉽게 대유행을 일으키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4월 취업자 수가 102만명 감소했다는 조사결과를 내놨다. 통계청도 같은 달 취업자 수가 48만명, 5월말 39만명 가량 감소했다는 통계치를 내놓은 바 있다.

 

통계청의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실직자 수는 2076000명으로 실직 시기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같은 기간 비자발적 실직자도 1045000명으로 역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4월 실직자 수와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고용대란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사실 국가가 실업 문제의 해결사로 나서야 하는가에 의문이지만 기업이 포기하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국가의 책임이다. 자본주의하에서 자본가에게 노동자의 해고와 고용의 기준은 단지 이윤이다. ‘해고는 불가피한 것이 아니라 자본가의 선택 사항일 뿐이다. 그러므로 자본주의하에서 대량실업 사태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자본주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업을 생산하고 재생산하는 데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렇게함으로써 이익을 얻기 때문이다.

 

1997IMF 이후 구조조정과 지속되는 불황으로 인한 취업대란과 고용불안정을 풍자할 때 등장한 신조어중 이태백이란 말이 있었다. 직장인들 사이에 자주 오르내리면서 널리 퍼져 일반명사로 자리 잡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태백‘20대 태반이 백수란 뜻인데, 젊은이들에게 일자리가 없어 백수생횔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 외 삼팔선(38세 즈음 퇴직)’, ‘사오정(45세 정년)’, ‘오륙도(56세까지 일하면 도둑)’, ‘육이오(62세까지 일하면 오적)’ 등이 있었는데 다시 재현되는 느낌이다.

 

요즘엔 정말 취업하기 힘든 세상이다. 날로 갈수록 청년들은 아무리 대학에 잘 나왔다고 하더라도 취업의 문턱이 더욱더 높아지고 좁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학교를 졸업해도 취업이 힘들어서 몇 년씩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자리 충격은 세대를 가리지 않는다. 하지만 청년들에겐 훨씬 더 가혹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420(20~29) 고용률은 54.6%에 머물렀다. 정부에서 매달 발표하는 청년 고용 지표는 꾸준히 호전되고 있지만, 실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은 이를 체감하지 못하면서 비판의 목소리만 나오고 있다. 눈높이를 낮춰도 일자리가 없다는 절규가 확산되고 있다.

 

jtntv 이효상 원장.jpg

일할 능력과 의사를 가진 사람이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거나 일자리를 잃은 상태를 실업(失業)’이라 한다. 실업자도 늘어나고 있다. 경기침체와 코로나19 쇼크로 올해 들어 4월까지 실직자 규모가 2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가 월 27만원짜리 노인 일자리를 수십만 개씩 만들어 아무리 통계를 꾸미려 해봐야 실상이 바뀔 리 없다. 돈 되는 원전포기로 기술자들과 일자리까지 사라졌다. 규제·노동 개혁에는 입을 다물고, 그로인해 기업의 해외탈출은 봇물을 이룬다. 지난해 해외직접투자액은 6185000만달러로 사상 최대다. 이런 판에 대체 무엇으로 첨단산업 세계공장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사람들이 갑자기 더 이상 일할 곳이 없어진다면, 바로 당신 자신이 갑자기 직업을 잃었다면 어쩔건가. 정리 해고로 실직을 하든 무기한 무급 휴가에 들어갔든 모두 다 마찬가지이다. 갑자기 일자리를 잃게 되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이고 큰 심리적 변화까지 감당해야 한다. 어떤 직업이든 일단 실직을 하게 되면 불안의 감정은 사람을 집어삼킨다. 하지만 여기에 나이로 인한 장벽 그리고 직업 유지의 불확실성이라는 상황까지 더해지면 스트레스 요인은 가중된다.

 

심리학자들은 실직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슬픔만큼 고통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한다. 코로나 사태가 회복되고 경제가 활성화되더라도 이미 탈진해 버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재기가 힘들 것이라는데 있다. 실제로 1998IMF 위기로 실직한 가장들이 거의 20년이 흐른 현재까지 끝내 경제적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가정이 해체된 사례들은 낯설지 않다.

 

그래서 단순 복지 관점서 보면 안되고 정치적 셈법이 아닌 구조적 변화의 접근이 필요하다. 실직자에게는 실업급여를 지급하지만 사실 실직자의 82%가 고용보험 미가입자이자 비정규직이다. 그들에게도 기본소득을 통한 빵 먹을 자유가 필요한 상황인가보다. 화석처럼 굳은 이념으로는 한계다. 유연성이 떨어지는 이대론 성장과 번영을 꿈꿀 수 없다. 말이 번드르르하다고 미래가 열려지는 것은 아니다. ‘실업이라는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우리는 쉽게 포기할 것이 아니라 뜨겁게 분노해야 한다. '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요구한다.

 

영국시인 딜런 토마스(Dylan M.Tomas)의 시()중에 인터스텔라(interstella)’라는 영화에서 보여준, 죽어가는 인류의 생존을 위해 지구를 대신할 새로운 행성을 찾아 머나먼 우주로 떠나는 우주 비행사들에게 브랜드 박사가 읽어주는 구절이 있다.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Rage, rage against the dying of the light.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세요. 꺼져가는 빛에 분노하고 또 분노하세요)”

 

현실에서도 어두운 밤이 다가오고 빛은 꺼져 가고 있다. 코로나사태 이후의 세상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 두려움은 더욱 커져만 간다. 이미 세계 도처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대기업들조차도 정부의 금융 지원을 통해 가까스로 생존을 버텨가고 있는 상황을 목격하게 된다.

 

늘어나는 이태백들이 절규하고 있다. 어둠이 더욱 짙어지고 빚이 꺼져 갈 때에 우리는 체념할 것이 아니라 분노해야 한다.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해야 한다. 그것이 자포자기(自暴自棄)하는 것보다 정신건강에 오히려 좋다. 어쩌면 우리는 그 짙은 어둠 속에서 갈 길을 잃고 헤매다 쓰러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어둠속에서 대한민국은 결국 답을 찾아낼 것이다. 언제나 그랬듯이...

 

글쓴이 : 이효상원장(근대문화진흥원장/ 한국교회건강연구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주간 인기기사
    오늘의 교회의 문제점과 대안
    쉬운목회 9-2 기관이 나를 위해
    아 4:3졀 입술과 입과 뺨의 칭찬
    강한 훈련의 중요성
    천 년 이후 잠시 풀려나게 되는 마귀
    장한국 목사코너-586- 반드시 내가 속히 …
    12월 넷째 주일「소강석 목사의 영혼 아포리즘…
    교회가 고깔모자 쓰고 요란한 트리와 싼타클로스…
    사) 기독교선교교회연합회 선교축제 열어
    광주 푸른솔교회 임직감사예배 드려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 보호정책(대표 겸 발행인 : 정기남)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지양로 176번길 32, (대운빌라 102호) 대표전화 032)672-3031
등록번호 : 경기, 아50924 | 특수주간신문 발행인/편집인 : 정기남 | 등록일/발행일 : 2007년 10월 17일
사업자번호 : 101-08-94879 | 후원계좌: 우체국 310029-02-152769 (정기남)
Copyright ⓒ 2007 크리스찬포토저널(CPJ), Allrights reserved. E-mail:cpj5037@daum.net
편집인 : H.P 010-5468-6574 / 032-672-3031(팩스)